저스틴 윌리엄 저마노 (영어 : Justin William Germano , 1982년 8월 6일 ~ )는 미국 국적의 투수 이자, 전 메이저 리그 선수이다.
미국 프로야구 시절
2000년 클레어몬트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같은 해 신인 지명 회의에서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의 13라운드 지명을 받고 입단한다.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에서 2004년 5월 22일 처음으로 메이저 리그 에 승격되어 필라델피아 전에 선발 출장하였고, 체이스 어틀리 에게 3점 홈런 을 허용했지만, 5이닝 , 44구, 5피안타 , 5탈삼진 , 4실점으로 첫 등판과 더불어 첫 승리까지 거머쥐었다.
2005년 5월 22일 , 조 랜다 의 보상 선수로 트레비스 칙 과 함께 신시내티 레즈 로 이적, 2개월 후 7월 31일 , 릴 코미어 와의 트레이드로 필라델피아 필리스 로 이적한다. 2007년 웨이버 공시를 거쳐 샌디에이고에 복귀했다. 이 시즌에는 23경기에 선발 등판해, 7승 10패, 4.46의 평균 자책점 을 기록하였다.
2008 스프링 캠프 중 저마노 (왼쪽)
2008년 5월 22일,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산하 트리플 A 로 강등되었고, 시즌 종료 후 FA 자격을 얻어 소프트뱅크 로 이적한다.
일본 프로야구 시절
2009년 6월 6일 , 대 히로시마 전에서 첫 선발 등판에 첫 승리(강우 콜드로 인해 완투승)까지 거두었다. 같은 해 6월 13일 요미우리 전에서 승리해 승리 투수가 되었으며, 이 승리로 소프트뱅크는 양대 리그제 이후 구단 통산 4,000승을 달성하였다. 14경기에 등판해 5승 4패의 성적을 거두었고, 소프트뱅크 구단은 저마노의 잔류를 원했지만 그는 미국 에서 뛰고 싶다는 뜻을 전하며 재계약하지 않고 12월 2일 부로 퇴단하였다.
미국 프로야구 복귀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퇴단 후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산하 마이너 리그 로 이적했고, 2010년 7월 30일 , 메이저 로 콜업된 후에는 주로 중간 계투로 23경기에 등판했다. 2011년 7월 26일 에는 트리플 A 시라큐스 치프스 를 상대로 퍼펙트 게임 을 달성하였고 이후 삼성 라이온즈 에 이적하였다.[ 1]
한국 프로야구 시절
삼성으로 이적한 후 2군 에서 실전 감각을 끌어올리고 1군 실전에 투입된 8월 18일 문학 SK 전에서 6이닝, 무실점, 3피안타, 1사 사구 , 4삼진으로 데뷔전을 퀄리티 피칭 으로 장식하였으며, 모두 86개의 공을 던져 57개의 스트라이크 와 29개의 볼을 기록하였다. 대한민국 데뷔전에서 환상적인 커브 로 팬들을 매료시켰다.[ 2] 그러나 시즌 후 재계약에 있어서 삼성 라이온즈 와 연봉에 대해 크게 이견을 보여 재계약을 거절하여 임의탈퇴된 후 미국 으로 돌아갔다.
미국 프로야구 재복귀
보스턴 레드삭스 로 이적하여 다시 메이저 리그 에 올라갔다. 그러나 메이저 리그 로 승격된 지 얼마 되지 않아 보스턴 레드삭스 에서 지명 할당되었고[ 3] 이후 시카고 컵스 에 현금 트레이드되었다. 2013년 에는 토론토 블루제이스 와 마이너 계약을 맺었으나, 그 해 5월 3일 에 지명 할당되었다. 삼성을 떠나는 대신 친분이 있었던 미치 탈보트 를 소개하여 탈보트의 삼성 입단에 도움을 주었다.[ 4]
2015년 7월 2일 삼성 라이온즈 가 그에 대한 보류권을 포기함과 동시에 필 어윈 의 대체선수로 KT 위즈 에 입단하면서 4년만에 KBO 리그 에 복귀한다.[ 5]
한국 프로야구 복귀
자진해서 나선 2군 무대 첫 경기에서 3이닝 5실점을 기록했다.
[ 6]
2015 시즌 15경기에 등판해 3승 6패, 평균자책점 4.93을 기록하였다.
미국 프로야구 복귀
2015년 시애틀 매리너스 로 이적(마이너)하였다.
투구 스타일
미묘하게 움직이는 130~140 km/h의 직구 와 체인지업 , 100 km/h의 완만한 커브를 사용한다. 빠른 구속으로 압박하기보다 타자 의 타이밍을 빼앗는 것이 특징이다.[ 7] 하지만 빠른 구속이 아닌 점으로 인해 류중일 감독이 아쉬워하였다.
연도별 성적
연도
소속
등 판
선 발
완 투
완 봉
승
패
세 이 브
홀 드
승률
타자
이닝
피 안 타
피 홈 런
사 구
고의 사구
死 구
삼 진
폭 투
보 크
실 점
자 책 점
방 어 율
WHIP
2004년
SD
7
5
0
0
1
2
0
0
.333
109
21.1
31
2
14
0
0
16
0
0
24
21
8.86
2.11
2006년
CIN
2
1
0
0
0
1
0
0
.000
31
6.2
8
1
3
1
1
8
0
0
4
4
5.40
1.65
2007년
SD
26
23
0
0
7
10
0
0
.412
566
133.1
133
14
40
3
8
78
1
0
72
66
4.46
1.30
2008년
12
6
0
0
0
3
0
0
.000
194
43.2
54
8
13
2
1
17
4
0
31
29
5.98
1.53
2009년
소프트뱅크
14
13
1
0
5
4
0
0
.556
328
76.0
92
6
10
0
6
42
0
2
40
37
4.38
1.34
2010년
CLE
23
1
0
0
0
3
0
2
.000
146
35.1
27
6
8
1
6
29
0
0
15
13
3.31
0.99
MLB : 5시즌
70
36
0
0
8
19
0
2
.296
1046
240.1
253
31
78
7
16
148
5
0
146
133
4.98
1.38
NPB : 1시즌
14
13
1
0
5
4
0
0
.556
328
76.0
92
6
10
0
6
42
0
2
40
37
4.38
1.34
개인 기록
NPB 투수 기록
NPB 타자 기록
등번호
47 (2004년, 2012년)
57 (2006년 ~ 2008년)
34 (2009년)
39 (2010년 ~ 2011년)
35 (2011년)
41 (2012년 ~ 2015년)
37 (2015년)
각주
외부 링크
※기록 및 선수 정보
투수
스콧 베이커 (1998)
호세 파라 (1998)
마이클 가르시아 (2000)
살로몬 토레스 (2001, 퇴출)
벤 리베라 (2001, 퇴출)
발비노 갈베스 (2001)
브론스웰 패트릭 (2002)
나르시소 엘비라 (2002~2003)
라이언 글린 (2003, 퇴출)
케빈 호지스 (2004)
루서 해크먼 (2005, 퇴출)
마르틴 바르가스 (2005)
팀 하리칼라 (2005~2006)
제이미 브라운 (2006~2007)
크리스 윌슨 (2007, 퇴출)
브라이언 매존 (2007)
웨스 오버뮬러 (2008, 퇴출)
톰 션 (2008, 퇴출)
존 에니스 (2008)
루넬비스 에르난데스 (2009)
프란시스코 크루세타 (2009~2010)
브랜던 나이트 (2009~2010)
팀 레딩 (2010)
카도쿠라 켄 (2011)
더그 매시스 (2011)
저스틴 저마노 (2011)
브라이언 고든 (2012)
미치 탤벗 (2012)
아네우리 로드리게스 (2013)
에스마일린 카리다드 (2013)
릭 판 덴 휘르크 (2013~2014)
J. D. 마틴 (2014)
알프레도 피가로 (2015)
타일러 클로이드 (2015)
콜린 벨레스터 (2016, 퇴출)
앨런 웹스터 (2016, 퇴출)
아놀드 레온 (2016)
앤서니 레나도 (2017)
재크 페트릭 (2017)
팀 아델만 (2018)
리살베르토 보니야 (2018)
저스틴 헤일리 (2019, 퇴출)
덱 맥과이어 (2019, 퇴출)
벤 라이블리 (2019~2021, 퇴출)
데이비드 뷰캐넌 (2020~2023)
마이크 몽고메리 (2021)
앨버트 수아레즈 (2022~2023, 퇴출)
테일러 와이드너 (2023)
코너 시볼드 (2024)
데니 레예스 (2024~)
아리엘 후라도 (2025~)
타자
투수 타자
굵은 글씨는 현재 kt 위즈 선수, 퇴출은 시즌 중도에 퇴출된 경우
최다 세이브: 오승환 (47세이브) |
홈런왕, 타점왕, 최고 장타율: 최형우 |
한국시리즈 MVP: 오승환 |
신인왕: 배영섭
SK 와이번스
삼성 라이온즈
두산 베어스
롯데 자이언츠
KIA 타이거즈
LG 트윈스
넥센 히어로즈
한화 이글스
삼성 라이온즈 넥센 히어로즈 NC 다이노스 LG 트윈스 SK 와이번스 두산 베어스 롯데 자이언츠 KIA 타이거즈 한화 이글스 KT 위즈 방출 외국인 선수
잭 루츠 (성적 부진 및 허리 부상, 두산 )
나이저 모건 (성적 부진 및 허리 부상, 한화 )
앤드루 시스코 (성적 부진, KT )
찰스 쉬렉 (성적 부진, NC )
유네스키 마야 (성적 부진, 두산 )
잭 한나한 (허리 부상, LG )
필 어윈 (성적 부진, KT )
트래비스 밴와트 (팔뼈 부상, SK )
필립 험버 (성적 부진, KIA )
셰인 유먼 (어깨 부상, 한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