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2차 예선
2022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2차 예선 개최기간 2019년 9월 5일 ~ 2021년 6월 15일
2022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2차 예선 은 2019년 9월 5일부터 2021년 6월 15일까지 진행되며, 2023년 AFC 아시안컵 예선 을 겸한다.
각 조 1위 팀은 2022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3차 예선 과 2023년 AFC 아시안컵 에 직행하며, 나머지 2위 팀 중 성적이 좋은 4개 팀도 3차 예선과 동시에 AFC 아시안컵에도 진출한다. 2위를 하고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2차 예선에서 탈락한 나머지 4개 팀과 각 조 3위 팀은 2023년 AFC 아시안컵 3차 예선 에 진출한다. 각 조 4위 팀 중 성적이 좋은 4개 팀은 2023년 AFC 아시안컵 3차 예선에, 나머지 4개 팀과 각 조 5위 팀은 플레이오프 에 진출한다. 제7~10차 라운드 전경기들은 코로나19 범유행 이 2020년 내내 지속되어 아시아 내 원정팀 선수단 입국금지국가들이 워낙 많아서 원래 2020년 3월과 6월 개최 예정이었다가 10월과 11월로, 다시 2021년 3월과 6월로 연기되었다.
참가국
시드 배정
2차 예선 조 추첨은 2019년 7월 17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소재 AFC 하우스에서 진행되었다. 2022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2차 예선에 참가한 팀들은 2019년 6월 FIFA 랭킹 을 기준으로 하여 시드를 배정받았다.
카타르는 원래 포트 1에 배정되었지만 2021년 코파 아메리카 에 참가하는 관계로 실제 조 추첨에서는 포트 5에 배정된 방글라데시와 자리를 맞교환했다.
경기 일정
경기일
날짜
경기일 1
2019년 9월 5일 목요일
경기일 2
2019년 9월 10일 화요일
경기일 3
2019년 10월 10일 목요일
경기일 4
2019년 10월 15일 화요일
경기일 5
2019년 11월 14일 목요일
경기일 6
2019년 11월 19일 화요일
경기일 7
2021년 3월 25일 목요일(타지키스탄 대 몽골) 2021년 6월 3일 목요일
경기일 8
2020년 12월 4일 금요일(카타르 대 방글라데시) 2021년 3월 30일 화요일(사우디아라비아 대 팔레스타인, 몽골 대 일본) 2021년 6월 11일 금요일
경기일 9
2021년 6월 7일 월요일
경기일 10
2021년 6월 15일 화요일
중앙집중 개최지
2021년 3월 12일에, 아시아 축구 연맹은 2021년 5월 31일부터 6월 15일까지 개최될 아시아 2차예선의 남은 각조별 리그들의 개최국들을 확정하였다.[ 1]
일반적으로 이 개최국들은 각조에서 톱시드(Pot 1) 배정받은 팀들이다. 예외는 B조(호주 연방정부가 무조건 외국인의 호주 입국 금지령 계속 시행중)와 C조이다.
2021년 5월 31일, A조 참가국들 중에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확진자가 발생하여 입국 제한으로 인해 A조 개최지인 중화인민공화국 에서 중립국인 아랍에미리트 로 옮겨 진행하게 된다.[ 2]
경기 결과
보기
색상 기준
AFC 아시안컵 본선과 FIFA 월드컵 최종 예선에 직행한 각 조 1위 팀
AFC 아시안컵 본선과 FIFA 월드컵 최종 예선 또는 FIFA 월드컵 2차예선 탈락팀 및 AFC 아시안컵 3차예선에 진출할 팀
FIFA 월드컵 지역 예선에서 탈락한 팀 및 AFC 아시안컵 플레이오프에 진출한 팀
A조
출처: FIFA
2019년 9월 5일 (2019-09-05 ) 15:30 UTC+10
2019년 9월 5일 (2019-09-05 ) 19:30 UTC+8
2019년 9월 10일 (2019-09-10 ) 15:30 UTC+10
2019년 9월 10일 (2019-09-10 ) 20:00 UTC+5
2019년 10월 10일 (2019-10-10 ) 20:00 UTC+8
2019년 10월 10일 (2019-10-10 ) 18:00 UTC+4
2019년 10월 15일 (2019-10-15 ) 20:00 UTC+8
2019년 10월 15일 (2019-10-15 ) [ 4] 18:00 UTC+4
2019년 11월 14일 (2019-11-14 ) 16:00 UTC+5
2019년 11월 14일 (2019-11-14 ) 18:00 UTC+4
2019년 11월 19일 (2019-11-19 ) 16:00 UTC+5
2019년 11월 19일 (2019-11-19 ) 18:00 UTC+4
관중: 0명
심판: 암마르 알제네이비
관중: 0명
심판: 암마르 알-제네이비
B조
출처: FIFA
2019년 9월 5일 (2019-09-05 ) 19:10 UTC+8
2019년 9월 10일 (2019-09-10 ) 18:30 UTC+3
2019년 10월 10일 (2019-10-10 ) 20:00 UTC+11
2019년 10월 10일 (2019-10-10 ) 19:00 UTC+3
2019년 10월 15일 (2019-10-15 ) 19:40 UTC+8
2019년 11월 14일 (2019-11-14 ) 18:00 UTC+2
2019년 11월 14일 (2019-11-14 ) 19:00 UTC+3
2019년 11월 19일 (2019-11-19 ) 18:00 UTC+2
관중: 0명
심판: 사우드 알아드바
관중: 0명
심판: 아흐메드 알 카프
C조
출처: FIFA
2019년 9월 5일 (2019-09-05 ) 18:30 UTC+7
2019년 9월 5일 (2019-09-05 ) 19:30 UTC+3
2019년 9월 10일 (2019-09-10 ) 18:30 UTC+7
2019년 9월 10일 (2019-09-10 ) 20:00 UTC+8
2019년 10월 10일 (2019-10-10 ) 17:00 UTC+3:30
2019년 10월 10일 (2019-10-10 ) 19:00 UTC+3
2019년 10월 15일 (2019-10-15 ) 18:30 UTC+7
2019년 10월 15일 (2019-10-15 ) 19:30 UTC+3
2019년 11월 14일 (2019-11-14 ) 20:00 UTC+8
2019년 11월 14일 (2019-11-14 ) 16:00 UTC+2
2019년 11월 19일 (2019-11-19 ) 20:00 UTC+8
2019년 11월 19일 (2019-11-19 ) 16:00 UTC+2
관중: 0명
심판: 아담 마하드메
D조
출처: FIFA
2019년 9월 5일 (2019-09-05 ) 19:45 UTC+8
2019년 9월 5일 (2019-09-05 ) 17:00 UTC+3
2019년 9월 10일 (2019-09-10 ) 19:45 UTC+8
2019년 9월 10일 (2019-09-10 ) 19:00 UTC+3
2019년 10월 10일 (2019-10-10 ) 17:00 UTC+5
2019년 10월 10일 (2019-10-10 ) 20:00 UTC+3
2019년 10월 15일 (2019-10-15 ) 19:45 UTC+8
2019년 10월 15일 (2019-10-15 ) 16:00 UTC+3
2019년 11월 14일 (2019-11-14 ) 17:00 UTC+5
2019년 11월 14일 (2019-11-14 ) 18:00 UTC+3
2019년 11월 19일 (2019-11-19 ) 17:00 UTC+5
2019년 11월 19일 (2019-11-19 ) 18:00 UTC+3
관중: 294명
심판: 모함메드 압둘라 하산 모하메드
관중: 4382명
심판: 니본 로베시 가미니
관중: 75명
심판: 알리 압둘나비
관중: 230명
심판: 모함메드 압둘라 하산 모하메드
E조
출처: FIFA
2019년 9월 5일 (2019-09-05 ) 19:30 UTC+3
2019년 9월 10일 (2019-09-10 ) 19:00 UTC+5
2019년 9월 10일 (2019-09-10 ) 19:30 UTC+3
2019년 10월 10일 (2019-10-10 ) 19:00 UTC+6
2019년 10월 10일 (2019-10-10 ) 19:00 UTC+4
2019년 10월 15일 (2019-10-15 ) 19:30 UTC+5:30
2019년 10월 15일 (2019-10-15 ) 19:30 UTC+3
2019년 11월 14일 (2019-11-14 ) 19:00 UTC+5
2019년 11월 14일 (2019-11-14 ) 19:00 UTC+4
2019년 11월 19일 (2019-11-19 ) 19:00 UTC+5
2019년 11월 19일 (2019-11-19 ) 19:00 UTC+4
2020년 12월 4일 (2020-12-04 ) 19:00 UTC+3
관중: 300명
심판: 모우드 본야디파르드
관중: 495명
심판: 모하메드 자이드 타메르
관중: 1,559명
심판: 헤티캄카남지 페레라
관중: 183명
심판: 마닝
F조
출처: FIFA
2019년 9월 5일 (2019-09-05 ) 17:00 UTC+8
2019년 9월 5일 (2019-09-05 ) 19:00 UTC+5
2019년 9월 10일 (2019-09-10 ) 17:00 UTC+8
2019년 10월 10일 (2019-10-10 ) 19:35 UTC+9
2019년 10월 10일 (2019-10-10 ) 20:30 UTC+6
2019년 10월 15일 (2019-10-15 ) 16:00 UTC+8
2019년 10월 15일 (2019-10-15 ) 17:15 UTC+5
2019년 11월 14일 (2019-11-14 ) 17:00 UTC+6:30
2019년 11월 14일 (2019-11-14 ) 17:15 UTC+6
2019년 11월 19일 (2019-11-19 ) 17:00 UTC+6:30
2019년 11월 19일 (2019-11-19 ) 20:00 UTC+6
관중: 0명
심판: 위밍쉰
관중: 0명
심판: 후세인 아부 예하
관중: 0명
심판: 오마르 알 야쿠비
[ 6]
관중: 0명
심판: 오마르 모하메드 알 알리
G조
출처: FIFA
2019년 9월 5일 (2019-09-05 ) 19:00 UTC+7
2019년 9월 5일 (2019-09-05 ) 19:30 UTC+7
2019년 9월 10일 (2019-09-10 ) 19:30 UTC+7
2019년 9월 10일 (2019-09-10 ) 20:45 UTC+8
2019년 10월 10일 (2019-10-10 ) 20:00 UTC+7
2019년 10월 10일 (2019-10-10 ) 20:00 UTC+4
2019년 10월 15일 (2019-10-15 ) 19:30 UTC+8
2019년 10월 15일 (2019-10-15 ) 19:00 UTC+7
2019년 11월 14일 (2019-11-14 ) 20:45 UTC+8
2019년 11월 14일 (2019-11-14 ) 20:00 UTC+7
2019년 11월 19일 (2019-11-19 ) 20:45 UTC+8
2019년 11월 19일 (2019-11-19 ) 20:00 UTC+7
관중: 0명
심판: 암마르 마흐푸드
관중: 980명
심판: 사토 류지
관중: 225명
심판: 아흐마드 알-알리
관중: 335명
심판: 사토 류지
H조
출처: FIFA
2019년 9월 5일 (2019-09-05 ) 17:30 UTC+9
2019년 9월 10일 (2019-09-10 ) 19:00 UTC+5
2019년 10월 10일 (2019-10-10 ) 20:00 UTC+9
2019년 10월 10일 (2019-10-10 ) 19:00 UTC+3
2019년 10월 15일 (2019-10-15 ) 17:30 UTC+9
2019년 10월 15일 (2019-10-15 ) 19:30 UTC+5:30
2019년 11월 14일 (2019-11-14 ) 16:00 UTC+5
2019년 11월 14일 (2019-11-14 ) 15:00 UTC+2
2019년 11월 19일 (2019-11-19 ) 16:00 UTC+5
2019년 11월 19일 (2019-11-19 ) 19:00 UTC+2
관중: 73명
심판: 아흐마드 야쿠브 이브라힘
관중: 3932명
심판: 모하메드 알 쿠다이르
관중: 52명
심판: 한나 하타브
관중: 4,008명
심판: 선인하오
각 조 2위 팀끼리의 순위 결정
2위 팀 중 3차 예선에 올라갈 4개 팀은 다음의 규칙을 따라 결정된다.
승점
득실차
득점
페어플레이 점수가 가장 낮은 팀 (1점 : 경고, 3점 : 경고 누적 퇴장 및 직접 퇴장, 4점 : 경고 받은 후 직접 퇴장)
중립 지역에서의 플레이오프
2022년 FIFA 월드컵 개최국 카타르 가 2차예선에서 총 상위 12위 이상(각조 1위 또는 각조 2위 중 상위 4팀) 성적 기록하면, 총 상위 13위(각조 2위팀들 중 제5순위)팀이 2022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3차 예선에 진출한다.
2021년 6월 16일까지의 경기 결과가 갱신되었다. 출처: FIFA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대회에서 기권했던 이후 H조는 다른 5개팀조들과 달리 4팀으로만 구성된다. 그러므로, 각조 2위팀들간 순위(랭킹) 결정할 때 각조 5위팀들과 경기 결과는 계산되지 아니한다.
[ 24] 비고:
↑ 카타르가 E조 1위를 했고 그팀은 2023년 AFC 아시안컵만 본선 직행 진출하므로, 월드컵 아시아 지역 3차 예선에서 카타르의 자리를 제5순위 조2위팀이 승계한다.
각 조 5위 팀끼리의 순위 결정
5위 팀 중 AFC 아시안컵 3차 예선에 올라갈 상위 3개 팀과 AFC 아시안컵 예선 플레이오프에 올라갈 하위 4개 팀은 다음의 규칙을 따라 결정된다.
승점
득실차
득점
페어플레이 점수가 가장 낮은 팀 (1점 : 경고, 3점 : 경고 누적 퇴장 및 직접 퇴장, 4점 : 경고 받은 후 직접 퇴장)
중립 지역에서의 플레이오프
출처: FIFA
각주
↑ “Centralised venues for Asian Qualifiers confirmed” . AFC. 2021년 3월 12일.
↑ “Latest update on Asian Qualifiers Group A matches” . AFC. 2021년 5월 31일.
↑ 가 나 다 라 시리아는 시리아 내전 으로 인한 안전 문제로 인하여 모든 홈 경기를 아랍에미리트에서 치렀다.
↑ 괌과 시리아 간의 경기 일정은 시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의 미국 비자 취득 문제로 인하여 일정이 변경되었다.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거 원래 2020년 3월 31일에 개최 예정이었으나, 그 경기는 아시아의 코로나19 범유행 때문에 여러 회 연기와 일정 재조정되었다.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거 너 더 러 머 버 서 어 저 처 커 터 퍼 허 고 노 도 로 모 보 소 오 조 초 코 토 포 호 구 누 두 루 무 부 수 우 주 추 쿠 투 푸 후 그 2021년 5월과 6월에 각 조 경기들은 각조별 중앙집중 개최지에서 시행될 것이다.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거 원래 2020년 6월 4일에 개최 예정이었으나, 그 경기는 아시아의 코로나19 범유행 때문에 여러 회 연기와 일정 재조정되었다.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거 너 더 원래 2020년 3월 26일에 개최 예정이었으나, 그 경기는 아시아의 코로나19 범유행 때문에 여러 회 연기와 일정 재조정되었다.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거 너 원래 2020년 6월 9일에 개최 예정이었으나, 그 경기는 아시아의 코로나19 범유행 때문에 여러 회 연기와 일정 재조정되었다.
↑ 가 나 다 라 네팔 축구 협회가 경기 일정 변경을 요청함에 따라 네팔은 중화 타이베이, 요르단, 쿠웨이트와의 원정 경기를 먼저 치른 다음에 해당 팀들과의 홈 경기를 나중에 치르게 되었다. 이는 카트만두 에 위치한 네팔 축구 국가대표팀의 홈 구장인 다사라트 랑가살라 경기장 이 2015년 4월 네팔 지진 으로 인해 파괴되어 사용할 수 없는 상황이었기 때문이다.
↑ 네팔은 쿠웨이트와의 홈 경기를 부탄 팀부에서 치렀다. 이는 네팔 카트만두에 위치한 다사라트 랑가살라 경기장 복구 공사가 지연되었기 때문이다.
↑ 가 나 이라크는 원래 이란, 바레인과의 홈 경기를 바스라 에 위치한 바스라 국제경기장 에서 치를 예정이었다. 하지만 이라크에서 일어난 반정부 시위와 관련된 안전 문제로 인하여 국제 축구 연맹, 아시아 축구 연맹의 결정에 따라 해당 경기를 중립 지대인 요르단 암만에 위치한 암만 국제경기장에서 치르게 되었다.
↑ 가 나 다 예멘은 예멘 내전 으로 인한 안전 문제로 인하여 모든 홈 경기를 바레인에서 치렀다.
↑ 가 나 다 아프가니스탄은 아프가니스탄 전쟁 으로 인한 안전 문제로 인하여 모든 홈 경기를 타지키스탄에서 치렀다.
↑ 몽골 정부가 외국인 입국금지를 계속 시행해서, 몽골 국가대표팀이 홈경기 개최를 포기하고 일본 대표팀 홈경기로 변경하였다. 이 경기는 무관중 경기로 치러졌다.
↑ 아랍에미리트는 카타르와의 2019년 AFC 아시안컵 준결승전 경기에서 일어난 관중 난동에 대한 AFC와 FIFA의 징계에 따라 인도네시아와의 홈 경기를 관중 없이 치를 예정이었다. 하지만 아시아 축구 연맹이 아랍에미리트 축구 협회의 이의 제기 신청을 인용함에 따라 해당 결정은 취소되었다.
↑ “UAE FA Fined for fan conduct against Qatar in Asian Cup” . beIN Sports . 2019년 3월 11일. 2019년 10월 12일에 확인함 .
↑ “AFC DEC issues USD$150,000 fine on UAE FA” . Asian Football Confedration. 2019년 3월 11일. 2020년 9월 2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10월 12일에 확인함 .
↑ 인도네시아와 베트남의 경기는 원래 자카르타 에 위치한 겔로라 붕 카르노 스타디움 에서 열릴 예정이었지만 인도네시아 축구 협회 가 내부적인 불안 요소를 고려하여 경기 장소를 변경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가 본부석의 VIP석만 초청하고 나머지 관중석을 비우고 자발적으로 무관중 경기로 시행하였다.
↑ 레바논은 반정부 시위로 인한 안전 문제로 인하여 대한민국과의 홈 경기를 관중 없이 치렀으나, 기록상 소수의 관중이 들어온 것으로 되어 있다.
↑ “Breaking news: Tomorrow's match between Lebanon and South Korea will be played behind closed door. The match will be broadcasted Live on LDC and LB2.” . Lebanon Football Guide . 2019년 11월 13일. 2019년 11월 13일에 확인함 .
↑ 레바논은 반정부 시위로 인한 안전 문제로 인하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의 홈 경기를 관중 없이 치렀다.
↑ “Latest decision on Asian Qualifiers” . Asian Football Association. 2021년 5월 27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