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대문형무소
'경성감옥'이라고 불린 다른 교도소들에 대해서는 경성감옥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서대문형무소(西大門刑務所, 'Former Seodaemun Prison, Seoul')는 일제 통감부가 식민통치에 저항하는 운동가들을 투옥하기 위해 1907년에 오늘날의 서대문구 지역에 건설하여 1908년 10월에 문을 연 감옥을 가리키는 말이다. 해방 후에는 주로 서울 구치소라 불리며 많은 시국사범들이 수감되었다. 서울 구치소가 경기도 의왕시로 이전하면서 1987년 10월에 폐쇄되었고, 그 후로 역사성과 보존가치 등을 고려하여 일부 시설을 철거한 뒤 나머지 시설들이 1988년 2월 27일에 대한민국의 사적으로 지정되었다.[1] 1998년 11월 5일부터는 서울특별시 서대문구가 관리하는 서대문형무소 역사관으로 재개장하였으며, 1992년부터는 서대문구 현저동에 위치한 독립공원의 주요시설로 기능하고 있다.[2] 역사일제강점기일제 통감부는 항일의병들을 투옥하기 위해 현재의 서대문구 현저동에 근대적 감옥을 만들겠다는 계획을 세우고, 일본인에게 설계를 맡겼다. 그 설계에 따라 1907년 8월 무렵에 완공된 감옥시설의 첫 이름은 '경성감옥'이었다.[3] 최초의 경성감옥은 약 500명을 투옥할 수 있는 560여 평 규모의 목조건물이었으며, 증축 과정에서 수감자를 효과적으로 감시할 수 있는 원형의 감옥인 파놉티콘 구조로 만들어졌다. 이후 일제는 1912년에 현재의 마포구 공덕동에 일명 '마포형무소'로 알려진 또 다른 감옥을 세우고 그 이름을 '경성감옥'이라고 칭하게 되는데, 그 과정에서 원래의 경성감옥의 이름은 '서대문감옥'으로 바뀌게 되었다. 1923년에 이르러 서대문감옥은 오늘날 잘 알려진 이름인 '서대문형무소'로 개칭하게 된다. '경성감옥'에서 '서대문감옥', '서대문형무소'로 명칭이 바뀌는 동안 수감인원은 계속하여 증가하였는데, 서대문형무소는 18세 미만의 여성, 10년 이상을 선고받은 자, 그리고 무기수를 수용하였으며, 1944년 기준 2,890명이 수용되어 있었다. 잘 알려진 수감자로는 백범김구 선생, 강우규 의사, 유관순 열사가 있다. 유관순 열사는 서대문형무소에서 목숨을 다하였다.[1] 광복 이후1945년 광복 후 서대문형무소의 명칭은 '서울형무소'로 바뀌었고,[4] 이 시기에는 반민족행위자와 친일세력들이 수용되었다.[1] 그러나 김삼웅 전 독립기념관장의 주장에 의하면 1949년까지는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반민특위)의 활동에 따라 이광수, 노덕술 등의 친일파가 수감되었지만, 반민특위 활동이 와해된 후 이승만 정부 치하에서는 오히려 독립운동가였던 정치인들이 서울형무소에 수감되는 상황이 발생했다. 한국전쟁 중 북한군이 서울을 점령했던 시기에는 북한군이 반공·친미 인사로 추정한 인물들을 투옥하였으며, 그 후 1950년 서울을 수복한 이승만 정부는 북한군에 협조한 부역자들을 서울형무소에 가두었다.[5] 역사관은 일제 강점기에 투옥된 모든 사람들을 추모하고 박물관으로 사용된다.[6]또한,민주 항쟁 때 시위하던 사람들도 갇혀있었다 군사독재에서 폐쇄까지1961년에 '서울형무소'의 명칭은 '서울교도소'로 바뀌었고, 4․19혁명과 5․16군사정변 등과 같은 정치적 변동에 따라 많은 시국사범들이 수감되었다. 예를 들어 김두한은 1947년, 1954년, 1965년, 1966년 등 4차례 서울형무소 및 서울교도소에 수감되었는데, 마지막으로 수감된 원인은 국회 오물투척사건이었다.[5] 그 후 1967년에 '서울교도소'는 '서울구치소'로 그 이름을 바꾸어 1987년에 폐쇄될 때까지 같은 이름을 유지하게 된다.[1] 1987년 11월에 서울구치소는 오늘날의 위치인 경기도 의왕시 안양판교로 143으로 이전하였고,[7] 서대문에 있는 서울구치소 시설은 폐쇄되었다. 정부는 폐쇄된 전체 시설 중에서 역사성과 보존가치가 인정되는 보안과 청사, 제9~12옥사, 공작사, 한센병사, 사형장 등 일부만을 보존하기로 하고 나머지 건물을 모두 철거하였다.[4] 사적 지정 및 역사관 개장1988년 2월 27일 서울구치소의 남은 건물들은 서울 구 서대문형무소라는 명칭 아래 대한민국의 사적 제324호로 지정되었다.[1] 사적의 관리자인 서울특별시 서대문구는 그 장소를 역사의 교훈으로 삼기 위해 같은 해 11월 5일 그곳에 '서대문형무소 역사관'을 개장하였다. 그 주변은 같은 시기에 공원으로 조성되기 시작하였으며,[4] 1992년 8월 15일 광복절에 이르러 오늘날 '서대문독립공원'으로 알려진 독립공원으로 개장하게 된다. 시설현재 사적으로 지정된 서울 구 서대문형무소의 주요 건물들은 다음과 같다.[1]
독립운동가서대문형무소에서 지낸 독립운동가들은 다음과 같다. 사진
같이 보기각주
외부 링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