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둑
바둑(Baduk) 혹은 오로(烏鷺), 혁기(奕棋/奕碁)(일본어: 碁 ご[*], 囲碁 いご[*]), (중국어 간체자: 围棋, 정체자: 圍棋, 병음: wéiqí), (영어: Go, Weiqi)는 두 사람이 흑과 백의 돌을 사각의 판 위에 번갈아 놓으며 집을 차지하는 것을 겨루는 놀이다. 제로섬 게임이자 마인드 스포츠의 일종으로 중국에서 유래되었다. 가로와 세로 각각 19줄이 그어진 바둑판 위의 361개 교차점에 돌을 둘 수 있다. 게임의 목표는 상대보다 더 많은 공간을 자신의 돌로 둘러 싸는 것이다. 규칙은 단순하지만 매우 깊은 전략적 사고가 요구된다. 한자로는 '기(碁 또는 棋)'라고 하며, 이외에 '혁기(奕棋 또는 奕碁)', '혁(奕)', '위기(圍棋 또는 圍碁)', '방원(方圓)', '흑백(黑白)', '수담(手談)', '도끼자루', '난가(爛柯)', '귤중(橘中)의 즐거움', '망우(忘憂)', '좌은(坐隱)', '오로(烏鷺; 까마귀& 백로)'라고도 한다.[1] 중국어로는 '웨이치(圍棋 또는 围棋)', 일본어로는 '고 혹은 이고(囲碁:いご)'라고 하고, 영어로는 바둑의 일본어 표현인 '고(Go)'라고 부른다. 바둑의 기원은 정확히 밝혀져 있지 않지만, 고대중국 전설상의 제왕인 3황5제 때에 만들어졌다는 이야기가 있다. 5세기~7세기 사이에 삼국시대에 소개되었으며, 순장바둑이라는 형태로, 1950년대 현대바둑이 유행하기 전까지 성행하였다.[2]시대적 흐름에 따라 자유 포석제 규칙의 바둑이 도입되었다. 바둑은 오늘날 한국, 중국, 일본, 대만 등 동아시아 국가들 사이에서 대중적인 놀이로서 전통문화의 일부분으로 자리잡고 있고, 세계적으로는 동양의 보드게임으로서 널리 알려져 있다. 나라마다 사용하는 규칙에는 조금씩 차이가 있다. 국가별로 여러 단체에서 개최하는 세계대회가 존재하며, 역대 세계 챔피언은 대부분 한국, 중국, 일본, 타이완에서 배출되었다. 바둑은 2010년 광저우 아시안 게임의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구글딥마인드에서 개발한 '알파고(AlphaGo)'라는 인공지능이 2015년 10월 세계 최초로 인간 프로기사를 상대로 승리를 거뒀다. 2016년 3월 알파고는 세계 최고의 프로기사인 이세돌 9단에게 승리했다. 참고로 체스는 1997년 '딥 블루'가 가리 카스파로프를 이겼다. 역사바둑의 기원은 명확하지 않다. 《박물지》[3], 《설문》, 《중흥서》, 《태평어람》, 《설문통훈정성》[4], 《문선》[5] 등에 요 임금과 순 임금이 아들 단주(丹朱)와 상균(商均)의 어리석음을 깨우치기 위해 바둑을 만들었다는 전설이 간략하게 언급되어 있다. 경우의 수바둑의 경우의 수는 단순하게 계산해도 361!가지다. (계승) (= 361 × 360 × 359 × ... × 3 × 2 × 1)이다. 그러나 이는 말그대로 단순하게 계산한 것이다. 바둑은 돌을 따냈으면, 그 따낸 자리에 다시 돌을 둘 수 있으며, 승패가 완전히 갈린 상황에서는, 졌다고 생각한 사람이 더 이상 두지 않고 기권하기에 (이런 경우에 이긴 사람을 불계승이라고 하고, 진 사람을 불계패라고 함), 이런 경우까지 포함한다면, 경우의 수는 더 늘어난다. 체제Scoring System
첫번째는 가장 오래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는 방식이다. 두번째와 세번째는[6] 현 바둑계의 양대 메이저 시스템이며 그 주체는 중국과 일본이다. 네번째는 오피룰[7]이 공개한 방식이다. 규칙사용 도구착수 규칙두 명의 경기자는 각각 흑과 백의 돌을 쥐고 교대로 자신의 돌을 바둑판 위에 놓는다. 돌을 놓을 수 있는 위치는 바둑판에는 그려진 가로줄과 세로줄의 교차점이다. 한번 놓인 돌은 바둑판 위에서 움직이거나 들어낼 수 없지만 예외로 상대방의 돌을 빈 칸 없이 자신의 돌로 둘러싸면 위의 백처럼 상대방의 돌을 들어낼 수 있다. 이를 돌을 '따낸다'고 한다. 같은 색의 돌과 바둑판의 경계선으로 둘러싸인 영역이 자신의 집이며 경기가 끝난 후 집의 숫자를 세어 더 많은 집을 얻은 쪽이 승리한다. 두자마자 자기 돌이 먹히는 수인 자살 수는 금지다. 하지만 돌을 둔 시점에서 상대의 돌을 먹는 게 가능한 상황이면 예외. 예를 들어 위 바둑판에서 좌상의 a와 우상의 b에 백이 놓을 경우 반칙(흑은 놓을 수 있음). 하지만 좌하의 c와 우하의 d의 경우 ▲의 흑을 먹는 게 가능하며 반칙이 아니게 된다. 맞바둑과 접바둑실력에 차이가 나는 상대 사이에 균형을 맞추기 위해 흑돌 몇 개를 화점에 미리 두고 시작할 수 있는데, 이를 접바둑이라고 한다. 이에 반하여 동등하게 시작하는 바둑을 맞바둑이라고 한다. 접바둑은 백이 먼저, 맞바둑(호선)은 흑이 먼저 돌을 둔다. 맞바둑은 먼저 두는 흑이 약간 우세하므로 백의 핸디캡을 상쇄하기 위해 여섯 집 반의 덤을 준다. 정선은 맞바둑과 마찬가지로 흑이 선수이지만 덤을 전혀 주지 않고 두는 것으로, 약간의 실력 차이가 날 경우에 둔다. 예를 들어, 흑이 백보다 5집 더 많은 상태에서 바둑이 끝났다면, 정선 혹은 접바둑의 경우 그대로 흑의 5집승이 되지만 맞바둑(6집반 공제 기준)의 경우 백의 1집반승(5 − 6.5 = −1.5)이 된다. 바둑의 진행초반일반적으로, 대국을 시작하고 나서 잠시 동안 포석을 놓게 된다. 대부분의 경우 바둑판의 네 개의 귀퉁이에 먼저 돌을 놓는다. 덧붙여 첫수를 귀퉁이에 놓을 경우 우상귀에 먼저 놓는 게 관례적이다.(오른손잡이의 시점과 일본 전통의 예도적 시각이다. 우상귀에 놓는 이유는 오른손잡이가 그렇게 팔을 뻗는 것이 쾌적하며 두는 폼이 나기도 하고 당사자 입장에서 보기 편한 위치이다.)
중반중반은 대국이 절정에 오를 때를 일컫는데 바둑판의 선마다 이름이 있다. 이름은 다음과 같다.
종반종반은 대국이 거의 끝나가는 마지막 단계이다.
위기십결(圍棋十訣)당대의 시인이자 당 현종의 바둑 상대역 벼슬인 기대조(棋待詔)를 지냈던 고수 왕적신(王積薪)의 작품으로 전해지지만, 북송(北宋) 시대 유중보(劉仲甫)의 작품이라는 설과 반신수(潘愼修)가 지어 태종(太宗)에게 헌상했다는 설도 있다. 바둑에 임하는 자세와 바둑을 둘 때 활용할 수 있는 작전을 담은 10가지 요결(要訣)이다.[8]
한국 바둑 통산 순위
대표적인 바둑대회바둑에 관한 작품
같이 보기각주
외부 링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