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are to: share facebook share twitter share wa share telegram print page

 

동해북부선

동해북부선(東海北部線)은

  1.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강원도 안변군 안변면안변역양양군 양양면양양역을 잇던 철도 노선. 현재 일부 구간이 금강산청년선으로 복원됨.
  2. 대한민국 강원특별자치도 삼척군 북평읍의 북평역(지금의 동해역)과 강릉시경포대역을 잇는 철도 노선. 현재 영동선에 편입됨.
  3. 대한민국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현내면제진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강원도 고성군 구읍리의 감호역을 잇는 철도 노선.

을 말한다. 이 문서에서 모두 기술한다. 예전에는 기점과 종점에서 각각 착공하여 일부만 개통할 경우 「○○남부선」, 「○○북부선」, 「○○중부선」, 「○○동부선」, 「○○서부선」 등의 명칭을 사용하다가, 완전히 개통했을 때 「○○선」 또는 지선이 있을 경우에는 「○○본선」으로 고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이 철도는 동해본선을 건설하면서 북쪽에서 착공하여 점차 남쪽으로 연장해가는 노선이므로, 「동해북부선」이라는 명칭을 사용하였다. 조선총독부가 건설한 동해북부선은 한국 전쟁으로 폐지되었으나, 뒤에 대한민국 정부에서 동해선의 북평역 이북의 건설을 재추진하면서 같은 이름을 사용하다가 영동선에 편입하고, 2000년대에 남북철도 연결사업인 TKR(한반도종단철도)로 첫 동해북부선의 일부가 복원되자 여기에 이 명칭이 붙여졌다.

일제강점기

동해북부선
기본 정보
운행 국가일제 강점기 → 소련 소련군정 → 북조선인민위원회 북조선인민위원회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종류간선철도
상태폐지(일부구간 금강산청년선, #제3동해북부선으로 복원)
기점안변역
(강원도 안변군 안변면)
종점양양역
(강원도 양양군 양양면)
역 수29
개통일1929년 9월 11일
폐지일1950년
소유자조선총독부소련 소련민정청북조선인민위원회 북조선인민위원회북조선인민위원회 북조선인민위원회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운영자조선총독부 철도국조선총독부 교통국소련 소련민정청 교통국북조선인민위원회 북조선인민위원회 교통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
노선 제원
영업 거리192.6km
궤간1,435mm
선로 수1

부산진역 ~ 안변역간 동해선 건설이 진행되면서, 안변역에서 착공하여 남쪽으로 건설되던 최초의 동해북부선이다. 1929년에 안변역 ~ 흡곡역간이 개통하면서 영업을 개시하고, 1931년에 흡곡역 ~ 통천역간, 1932년에 통천역 ~ 고성역간, 1935년에 고성역 ~ 간성역간, 1937년에 간성역 ~ 양양역간이 개통하였다.

연선 인구도 적고, 산업이나 군사적인 면에서도 중요성이 낮아 운행하는 열차도 수회에 불과했다.[1] 단, 금강산을 비롯한 몇개의 관광지가 있기 때문에, 간혹 일요일이나 공휴일의 전날에 경성역(지금의 서울역)에서 야간열차가 운행되었기도 했으나 이후 공사가 중단되었다.

남북분단으로 인해, 전 구간이 북위 38도선 이북인 동해북부선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철도가 되었다가, 한국 전쟁으로 고성역과 초구역 사이에 군사분계선이 그어져 초구역 ~ 양양역간은 대한민국의 실효 지배 지역이 되었다. 대부분 전쟁으로 파괴되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동해북부선을 철거하고, 대한민국민간인출입통제구역에 포함된 초구역 ~ 현내역간을 폐지하고 현내역 ~ 양양역간은 일단은 존치되었다가, 1963년부터 1967년까지 전 구간이 폐지되었다. 이후 1996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안변역 - 금강산청년역(舊 외금강역) 구간을 복원하여 금강산청년선으로 노선 명칭을 변경했다.

연혁

역 목록

소재지의 지명은 1950년 당시의 것을 따르며, 전구간 강원도에 소재한다

역명 한자역명 역간거리
(km)
영업거리
(km)
접속노선 소재지
안변 安邊 0.0 0.0 경원본선 안변군 안변면
오계 梧溪 8.9 8.9 안도면
상음 桑陰 6.0 14.9 통천군 흡곡면
자동 慈東 10.3 25.2
흡곡 歙谷 6.2 31.4
패천 沛川 6.6 38.0 학일면
송전 松田 9.4 47.4 송전면
고저 庫底 6.9 54.3 고저읍
통천 通川 6.7 61.0 통천면
벽양 碧養 4.1 65.1 벽양면
염성 濂城 5.1 70.2 임남면
두백 荳白 5.5 75.7
남애 南涯 10.5 86.2 고성군 외금강면
장전 長箭 7.0 93.2 장전읍
외금강 外金剛 7.8 101.0 외금강면
고성 高城 10.4 111.5 고성읍
초구 草邱 8.5 119.9
제진 猪津 6.0 125.9 현내면
현내 縣內 10.0 135.9
거진 巨津 7.4 143.3 거진면
간성 杆城 7.4 150.7 간성면
공현진 公峴津 6.7 157.4 양양군 죽왕면
문암 文岩 5.9 163.3
천진리 天津里 5.9 169.2 토성면
속초 束草 6.5 175.7 속초읍
대포 大浦 5.8 181.5
낙산사 洛山寺 3.7 185.2 강현면
양양 襄陽 7.4 192.6 양양면

영동선 편입 노선

동해북부선
기본 정보
운행 국가대한민국 대한민국
종류간선철도
상태폐지(영동본선에 편입)
기점북평역
(강원도 삼척군 북평읍 송정리)
종점경포대역
(강원도 강릉시 강문동)
역 수8
개통일1961년 5월 5일
폐지일1963년 5월 20일
소유자대한민국 대한민국
운영자대한민국 대한민국 교통부 영주철도국
노선 제원
영업 거리50.9km
궤간1,435mm
선로 수1

대한민국 정부에 의해 재추진된 동해북부선이다. 당시 북평역 ~ 양양역간은 조선총독부에 의해 노반이 완성된 상태로, 궤도 구성과 역사(驛舍) 등 제반 시설만 건설하면 되는 상황이었기 때문에 대한민국에서도 계속 추진하던 것을 한때 교통부의 적자로 중단했다가 미국의 원조를 받아 수립된 동해안지구산업계획에 따라 동해북부선의 건설이 다시 추진되었다. 그러나 1967년에 새 철도는 가급적 고속도로로 전환한다는 방침이 세워지면서 경포대역까지 개통된 이후 또다시 중단되었다. 이후 영동선에 편입되었다.

연혁

역 목록

소재지의 지명은 1963년 당시의 것을 따르며, 전 구간이 강원특별자치도에 있다.

역명 역간거리(km) 영업거리(km) 접속 노선 소재지 비고
한글 한자
북평 北坪 0.0 0.0 철암선
삼척선
삼척군 북평읍 송정리
묵호 墨湖 5.9 5.9 명주군 묵호읍 발한리
망상 望祥 6.1 12.0 묵호읍 망상리
옥계 玉溪 5.5 17.5 옥계면 주수리
정동진 正東津 11.4 28.9 강동면 정동진리
안인 安仁 7.2 36.1 강동면 안인리
강릉 江陵 9.1 45.2 강릉시 교동
경포대 鏡浦臺 5.7 50.9 강문동

현재 동해북부선

동해북부선
대한민국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으로 이르는 동해북부선 (2005년 9월 촬영)
동해북부선의 위치.
기본 정보
운행 국가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종류간선 철도
상태준공 후 미개통
기점제진역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현내면)
종점감호역
(강원도 고성군)
역 수2
노선 번호31107
개통일미개통
소유자대한민국 정부(국가철도공단에 위탁)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
운영자없음
노선 제원
영업 거리11.1 km
궤간1,435mm

김대중 정부 시기에 대한민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관계가 개선되면서 동해선의 군사분계선을 넘는 구간을 다시 복원하면서 재추진된 동해북부선이다. 건설사업은 준공되어 한국철도공사가 철도사업면허를 받았으나, 2007년에 한차례 시험운행을 했을 뿐 영업을 개시하지 못한 채 방치되고 있다. 2020년 12월 23일, 2027년 12월 준공을 목표로 남강릉신호장~강릉~주문진~38선신호장~양양~속초~간성~화진포신호장~제진 간 111.7 km에 단선 전철을 부설하는 사업의 기본계획이 고시되었다.[16]

연혁

역 목록

역명 역간거리(km) 영업거리(km) 접속 노선 소재지 비고
한글 한자 로마자
남강릉신호장 南江陵 Namgangneung 대한민국 강원특별자치도 강를시 구정면 금광리
강릉역 江陵 Gangneung 대한민국 강원특별자치도 강를시 강릉시 교동
주문진 注文津 Jumunjin 대한민국 강원특별자치도 강를시 주문진읍 교향리
삼팔선신호장 三八線 Sampalseon 대한민국 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양양 襄陽 Yangyang 대한민국 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양양읍 송암리
속초 束草 Sokcho 춘천속초선 대한민국 강원특별자치도 속초시 속초시 노학동
간성 杆城 Ganseong 대한민국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간성읍 신안리
화진포 花津浦 Hwajinpo 대한민국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거진읍 화포리
제진 猪津 Jejin 0.0 0.0 대한민국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현내면 사천리 남북출입사무소
감호 鑑湖 Gamho 11.1 11.1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강원도 고성군 고성읍 감호리 북측역사

같이 보기

각주

  1. 小牟田哲彦. 《鉄馬は走りたい 南北朝鮮分断鉄道に乗る》 [철마는 달리고싶다 남북조선 분단철도에 타다] (일본어). 草思社. 
  2. 조선총독부고시 제300호(1929.08.30)
  3. 조선총독부고시 제70호(1930.02.26)
  4. 조선총독부고시 제355호(1931.07.09)
  5. 조선총독부고시 제264호(1932.05.07)
  6. 조선총독부고시 제394호(1932.07.30)
  7. 조선총독부고시 제474호(1932.09.08)
  8. 조선총독부고시 제557호(1932.10.26)
  9. 조선총독부고시 제350호(1933.07.29)
  10. 조선총독부고시 제604호(1935.10.19)
  11. 조선총독부고시 제809호(1937.11.18)
  12. 조선총독부고시 제885호(1944.06.10)
  13. 교통부고시 제637호
  14. 교통부고시 제813호
  15. 교통부고시 제893호
  16. 국토교통부장관 (2020년 12월 23일). “국토교통부 고시 제2020-1027호”. 《대한민국 전자관보》. 대한민국관보 제19904호. 146-147쪽. 2020년 12월 27일에 확인함. 
  17. 건설교통부고시 제2005-523호
  18. 국토교통부고시 제2019-173호, 2019년 4월 17일.
  19. 동해북부선 강릉~제진 단절구간 112㎞ 55년 만에 복원 착수
Kembali kehalaman sebelumnya